탁월한 발표의 5가지 핵심요소

프레젠테이션은 대학 교육의 현장과 비즈니스 세계에서 피할 수 없는 중요한 활동입니다. 우리는 꾸준하고 체계적인 훈련을 통해 효과적이고 매력적인 프레젠테이션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해야 합니다. 사실, 뛰어난 발표자들의 발표가 첫 눈에 간단 해 보일 수 있지만, 사실 그 속을 파헤쳐 보면, 탁월한 프레젠테이션이 탄생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프레젠테이션 요소들이 있음을 알게 됩니다.

1.열정과 진정성

프레젠테이션 현장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것 중 하나는 지루하고 관심 없는 주제에 관한 발표자의 말을 듣는 것입니다. 탁월한 프레젠테이션을 위해서는 청중의 흥미를 유발해야합니다. 발표자 부터가 지루하거나 전달하는 내용이 단조롭다면 청중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청중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본시작은 발표자 본인이 먼저 발표하는 주제에 대한 열정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발표자의 열정과 함께 또한 중요한 것은 진정성 입니다. 청중들은 발표자가 거짓말을하거나 내용을 과장하고 있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청중들은 발표자가 정직하지 않다고 느끼면, 발표자 본인은 물론 프레젠테이션의 모든 내용들은 신뢰를 잃게 될 것입니다. 탁월한 발표자는 청중에게 정직하고 투명하면서도 동시에 자신이 청중들에게 전달하는 모든 것에 대한 뜨거운 열정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2.청중에 집중하는 것

탁월한 발표자는 자신이 아닌 청중을 중심으로 프레젠테이션을 만들고 전달합니다. 또한 내가 말하고 싶은 것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청중이 프레젠테이션을 통해서 무엇을 얻을 수있는가에 더욱 초점을 맞춥니다. 그래서 탁월한 발표에서는 늘 청중을 향한 열정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쳥중들을 향한 발표자의 열정은 진정성과 함께 드러나야 합니다. 훌륭한 프레젠테이션의 핵심은 청중에게 매력적이어야 하는데, 진정성이 결여된 발표는 절대 청중의 마음을 움직일 수 없습니다. 청중은 저마다 성향과 관심사가 다르기 때문에 대화하는 사람들과 그 사람들의 관심사가 무엇인지 세밀하고 분석하고 컨텐츠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준비된 발표 내용들이 청중이 관심있어하는 주제와 관련성이 깊고 또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경우 프레젠테이션은 아주 매력적이고 성공적으로 완성될 수 있습니다.

3.간결 명료하게 내용을 전달하는 것

훌륭한 발표자는 복잡한 주제를 간단하게 만드는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종종 발표자는 프레젠테이션 주제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사람들에게 내용을 전달해야 합니다. 이때 복잡한 언어나 개념을 사용하면 청중을 혼란스럽게하고 청중의 주의를 놓치게 됩니다.

우리는 프레젠테이션이 본질적으로 교육 도구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청중에게 주제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발표자가 훌륭한 교사라고 한다면 누구나 발표자가 전달하는 내용을 쉽게 배우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탁월한 발표자는 내용을 단순화해서 간결 명료하게 전달해야 합니다.

4.청중과 친밀감을 형성하는 것

청중 또는 상대방과 친밀함을 형성하는 것은 프레젠테이션을 포함하여 비즈니스의 모든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청중들은 그들이 발표자를 좋아하고 또한 발표자의 생각과 감정에 공감할 수 있을 때, 더욱 발표자가 전달하는 내용들을 열심히 듣습니다. 청중과 친밀감을 형성하는데 한 가지 좋은 방법은 청중과 눈을 마주 치고 미소를 짓는 것입니다. 이러한 간단한 행동은 청중과의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청중들이 발표자와 연결될 수 있다고 느끼는 효과를 증가시킵니다.

5.훌륭한 바디랭귀지(Body Language)

발표자의 바디 랭귀지는 언어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것들 보다 더욱 많은 것을 전달하고 말해줍니다. 의사 소통의 4 분의 3 이상은 비언어적입니다. 당신의 말이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바디 랭귀지는 청중이 발표자의 말을 듣는지 그리고 그들이 발표자의 말을 어떻게 해석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탁월한 발표자는 전신을 똑바로 세우고 당당한 자세로 내용을 전달합니다. 발표자들이 피해야 하는 동작들 중 대표적인 것으로 팔을 교차하거나 다리를 어긋나게 해서 삐딱하게 서는 것입니다. 또한 불안해 보이는 동작을 하거나, 서두르는 느낌의 제스쳐들도 피해야 합니다.

발표자의 바디 랭귀지가 청중에 대해 개방적이고 따뜻하고 섬세할 수록, 청중들은 발표자를 더욱 신뢰할 수 있게 되고 발표자가 전달하는 내용들에 더욱 집중할 수 있습니다.


알파코칭 – 면접스피치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