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 가정 자녀, 특징 및 양육환경 연구 모음

부부의 세계, 5가지 왜곡된 묘사들

부부의 세계 드라마가 세간의 관심 속에 방영되고 있다. 현재 9회, 10회 방영이 진행되고 있는 시점인데, 한부모 가정 자녀로 등장하는 아들 이준영에 관한 시청자들의 의견 또한 격렬히 쏟아지고 있다.

우리 연구소의 경험과 관점에서 봤을 때, 부부의 세계에서 묘사되고 있는 아들 이준영의 캐릭터와 양육환경에 있어서 다섯 가지 부분에 대해 언급할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

  1. 이혼 당사자인 부부 사이에서 자녀가 소유의 대상으로 지나치게 묘사되고 있다는 점
  2. 한부모 가정 자녀의 상처와 반항 만 두드러지게 부각되고 있다는 점
  3. 자녀양육에 있어서 지선우(엄마)의 실패와 무기력함이 통상의 사례인 것 처럼 왜곡될 수 있다는 점
  4. 김윤기(정신과의사)가 조력자 및 중재자가 아닌 주도적 개입자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
  5. 부부의 세계에서 등장하는 가정환경은 최상위 1% 사회를 배경으로 설정한다는 점

드라마이기 때문에 더욱 극적인 묘사와 시청자를 자극하기 위한 요소가 가미되어 있음을 충분히 인지할 필요가 있지만, 모든 시청자가 이러한 부분을 충분히 인지할 수 없으며, 드라마가 가져오는 사회적인 파급력을 생각했을 때, 시청자에 대한 균형잡힌 조언이 필요해보인다.

이혼 가정 자녀, 한부모 가정 청소년들의 양육환경과 학부모들에 대한 더욱 균형잡힌 이해를 돕기 위한 연구 및 관련 기관들을 리스트에 소개하고자 한다.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소개된 자료들을 살펴보길 추천하며, 이를 통해 한부모 가정 자녀들과 양육환경에 대해 진정한 이해와 배려에 대한 동기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Source : Pixabay.com by josealbafotos

리스트

회복탄력성이 높은 한부모 가정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제 38권 1호 2020

한부모가정 및 일반가정 청소년의 불안, 사회적응 및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조절효과 / 한국청소년연구 통권 제73호2014.05

이혼 가정 자녀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주소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한부모가정 아동의 부모-자녀 애착과 공유시간, 자아존중감, 긍정적인 또래관계의 구조적 관계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6권 제4호(통권 제152호)2018.12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청소년학회

여성가족부 한부모 가족 상담 및 정보 제공


청소년 멘토링 프로그램